웃음 등대
화는 간을 상하게 합니다 본문
![]() 1. 꼭 그래야만 한다는 생각을 버린다. 화가 났을 때 "이건 있을 수 없는 일이야" "나에게 최소한 이렇게 했어야만 해" 이 같은 비합리적인 생각을 하고 있진 않은지 점검한다.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이란 없고 꼭 그래야만 하는 사람도 없다. "내가 삼촌 뻘인데" "내가 그 동안 부장님께 어떻게 했는데" 이 같은 생각도 내 기준일 뿐이다. ![]() 2. 극단적인 표현을 삼간다. “저 사람과는 끝이야!” “열 받아 미치겠어” 대신 “기분이 좋지 않다”고 말하자. 표현에 따라 기분도 바뀐다. ![]() 3. "나 같으면"이라는 가정은 하지 말자. 엄밀히 말해 그 사람이 나 같이 행동해야 한다는 근거는 없다. 그 사람 입장에선 또 다른 사정이 있을 수 있다. ![]() 4. 가끔은 성악설을 믿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인간은 누구나 불완전하다. 사람들이 가끔 부당해 보이는 게 당연하다고 받아들이자. "난 이런 거 못 참아"라고 생각해 봤자 스트뭣보?커진다. ![]() 5. 사람과 행동을 구별한다. 특정 행동 비판이 아니라 행위자 자체를 용서할 수 없는 나쁜 사람으로 규정함으로써 자신의 분노(또는 욕설과 폭력행사)를 정당화하려는 경향을 주의한다. ![]() 6. 오늘 낼 화를 내일로 미룬다. 흥분상태에선 실수를 하기 쉽다. 당장 화 내고 싶어도 일단 미뤄 둔다. 차분한 상태로 대응하는 게 언제나 더 이롭다. ![]() 7. 화를 내는 게 어떤 효용이 있는지 생각한다. 대부분의 경우 분노의 표출은 인간관계와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다. 화내봤자 얻는 게 없다고 생각되면 즉각 단념한다. 8. 제3자에게 화풀이하지 않는다. 화가 났을 때는 괜히 타인에게 화풀이함으로써 갈등을 2배로 키우기 쉽다. "난 화가 났으니까 이래도 된다" 하고 생각하는 순간 외톨이가 된다. ![]() 9. 좋았던 기억을 떠올린다. 어떤 사람에게 화가 났을 때 그 사람과 즐거웠던 추억을 떠올리고 그 기억에 몰두함으로써 나쁜 기억을 몰아내려고 노력한다. ![]() 10. 남의 일처럼 생각한다. 내가 주인공인 드라마를 보는 기분으로 한 발 떨어져 생각하면 비극적인 상황도 낭만적이거나 코믹하게 느껴진다. 출처 : 조선일보-이자연기자-에서 발췌 음악 : To traino / Haris Alexiou |
'☆ 자료 곳간 ☆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은 나이를 묻지 않는다 (0) | 2007.11.24 |
---|---|
지방과 암세포를 태우는 식품들 (0) | 2007.11.24 |
우슬의 효능과 재배 정보 (0) | 2007.10.16 |
즐거운 풀 - 약藥 (0) | 2007.09.18 |
암을 예방하는 방법 들 (0) | 2007.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