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음 등대
독초와 약초의 구별법과 해독 방법 본문
일반적으로 나물과 독초를 구별하는 방법은 1.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따서 냄새를 맏아 보면 나물은 향긋한 냄새가 나지만, 독초는 역겨운 냄새가 나는 것으로 구별할 수도 있다. 모두 사람도 먹을 수 있다고 한다. 시골에서 소를 키워보면 소가 풀을 뜯어 먹을 때 코로 냄새를 맏아 보고 풀을 뜯어 먹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소는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색맹이라고 한다. 소가 우리 사람들처럼 나물에 대하여 학습을 한 것도 아닌데 먹을 수 있는 풀과 없는 풀을 구별하는 것은 냄새를 맏아 보고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런 만큼 냄새를 맏아 보고 식용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 원시적인 방법 이라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상당히 합리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있으면 먹을 수 있는 식물로 보아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벌레도 독초를 먹으면 죽게 되므로 벌레가 먹는다는 것은 사람에게도 먹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방법은 벌레와 사람이 독소에 대한 반응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판단의 근거로 삼을 수 있는 방법이다. 수 있을지 몰라도 그렇지 않는 평상시에는 충분히 식용여부를 확인을 한 후에 먹어야 한다.
◆ 독초, 약초 감별 상식
◆ 해독법
①생 칡뿌리 즙을 내어 한 번에 200㏄ 정도씩 여러번 마심
①찔레 열매나 장미 열매를 한 홉의 물에 달여 마심 - 물 한 되에 넣어
①연잎을 날 것으로 깨끗이 물에 씻어 씹어서 삼킴 - 연잎 생즙도 좋음 ◆ 독버섯 알아내는 방법
◆ 버섯을 안전하게 먹는 법
- 식물의 일부 또는 전체에 유독한 성분을 함유한 식물(초본식물)을 독초(毒草)라 하며, 일반적으로 독초는 산나물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생기는 등의 반응이 나타난다. 대체적으로 맛이 담백하고 열매 같은 것은 단맛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안좋은 냄새가 나는 것은 독초라 할 수 있다. 있으면 먹을 수 있는 식물로 볼 수 있다. 약초라 하더라도 안전하다는 확신이 없을 경우 함부로 섭취하지 않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
'☆ 자료 곳간 ☆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젊어지는 비결 - 아주 간단한 실천 (0) | 2006.12.10 |
---|---|
질병 및 회복에 의한 우리 몸의 변화 (0) | 2006.12.09 |
멸치 - 우습게 보지 말라 (0) | 2006.11.21 |
동의 보감에 나와 있는 식물 활용 처방법 (0) | 2006.11.21 |
약용 식물을 활용한 중풍 예방법 (0) | 2006.11.21 |